Make 워크플로우의 기본. 모듈에 대해 알아보자

Make.com은 자동화를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강력한 노코드/로우코드 플랫폼입니다. 특히 여러 앱과 서비스들을 연결하여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강점이 있습니다. Make.com에서 이러한 자동화를 이루는 핵심은 바로 모듈(Module) 이며, 이 모듈들이 모여 하나의 워크플로우(시나리오) 를 구성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Make 워크플로우의 기본이 되는 모듈의 개념, 워크플로우의 이해, 그리고 Make에서 제공하는 기본 모듈(builtin modules) 에 대해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간단한 자동화 예제를 통해 모듈을 실제로 어떻게 엮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모듈(Module)이란?

Make에서 모듈은 특정 작업이나 연산을 수행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다시 말해, 하나의 모듈은 어떤 입력을 받아 처리하고, 출력 결과를 제공하는 하나의 기능 블록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 Gmail 모듈: 새 이메일을 읽거나 작성함
  • Google Sheets 모듈: 특정 시트에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읽음
  • HTTP 모듈: 외부 API 요청을 보냄
  • Slack 모듈: 채널에 메시지를 보냄

모듈은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트리거(Trigger): 워크플로우를 시작하는 모듈 (ex. 새 이메일이 도착하면)
  • 액션(Action): 어떤 일을 수행하는 모듈 (ex. 파일 업로드, 메시지 전송 등)
  • 검색(Search) 또는 Getter: 특정 데이터를 조회하는 모듈
  • 도구 모듈(Utility Modules):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필터링하는 빌트인 기능

2. 워크플로우(Scenario)란?

워크플로우, 혹은 Make에서는 시나리오(Scenario) 라 부릅니다. 하나 이상의 모듈을 순차적 또는 조건적으로 연결하여 특정 목적의 자동화 과정을 완성한 것입니다.

시나리오의 구조는 간단합니다:

  1. 트리거 모듈 하나
  2. 이후의 액션 혹은 처리 모듈들
  3. 필요한 경우 조건(필터), 분기, 반복 등의 제어 구조 포함

예:

  1. Gmail에서 새로운 이메일 수신 →
  2. 이메일 본문에서 특정 키워드 검색 →
  3. 슬랙으로 알림 전송 →
  4. Google Sheets에 로그 저장

위의 시나리오의 경우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워크플로우가 생성될 것입니다. 


3. Builtin 모듈이란?

Make는 외부 서비스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기본 유틸리티 모듈(builtin modules)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듈들은 워크플로우 중간에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로직을 추가할 때 유용합니다. 대표적인 builtin 모듈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3.1. Tools 모듈

  • Text functions(텍스트 함수): 문자열을 자르거나 합치기, 정규식 활용 등의 작업
  • Math functions(수학 함수): 덧셈, 평균, 랜덤 숫자 생성 등
  • Date/Time (날짜/시간): 현재 시간 얻기, 형식 변경, 날짜 계산 등
  • Parse JSON / Create JSON: JSON 데이터를 파싱하고 생성
  • Set variable: 워크플로우 내 임시 변수 저장
  • Sleep / Delay: 일정 시간 동안 대기

3.2. Flow Control 모듈

  • Router: 하나의 결과를 여러 방향으로 분기 처리
  • Iterator: 리스트(배열)에 대한 반복 처리
  • Filter: 조건에 따라 모듈 실행 여부 결정
  • Break: 루프 종료
  • Continue: 루프 건너뛰기

3.3. Error Handling 모듈

  • Try / Catch 구조를 만들 수 있는 에러 분기 설정
  • 모듈 실행 중 발생하는 예외를 별도로 처리 가능

이러한 내부 모듈들이 데이터를 유연하게 다루고, 외부 서비스 간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해 줍니다.


4. 간단한 예시: 이메일 요약 정보를 슬랙에 전송하기

시나리오 목적

Gmail에서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새 이메일을 수신하면, 해당 이메일의 요약 정보를 Slack 채널에 전송한다.

사용 모듈

  1. Gmail > Watch Emails
  2. Tools > Text aggregators (요약 정보 구성)
  3. Slack > Send a Message

구성 단계

Step 1: Gmail 모듈 설정
  • 모듈: Gmail – Watch Emails
  • 조건: 특정 라벨이 있거나, 제목에 “보고서”라는 단어 포함
Step 2: Tools 모듈
  • 모듈: Text aggregator
  • 내용: 이메일 제목, 본문 요약, 발신자 정보를 하나의 메시지로 구성

예:

새로운 보고서 도착  
제목: {{subject}}  
보낸 사람: {{from}}  
내용 요약: {{snippet}}
Step 3: Slack 모듈
  • 모듈: Slack – Send Message
  • 대상: 특정 워크스페이스와 채널
  • 메시지: 위에서 구성한 텍스트 값

결론

Make.com에서 모듈은 자동화의 기본 구성 블록이며, 이들을 연결하여 시나리오(워크플로우) 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builtin 모듈은 외부 앱과의 연결뿐 아니라, 중간 데이터 처리와 로직 제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초보 사용자라도 간단한 예제를 통해 모듈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을 익혀 나간다면, 점차 복잡한 자동화도 스스로 구축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에는 실제적인 데이터 필터링, 반복 처리, 파일 업로드 등 좀 더 실용적인 예제를 다뤄보겠습니다.

Leave a Comment